본문 바로가기

Study/Data Visualization

외면받은 대시보드는 과연 심폐소생 되었을까?

목차
1. 개요
2. 모두가 데이터를 바라보게 되었다. 그 이유는?
3. 수정된 대시보드
4. 데이터'는' 해석이 필요해요
5. 마무리

1. 개요

 지난해 12월에 '외면받은 대시보드 심폐소생 시키기'라는 글을 작성했다. 당시 대시보드는 주요 성과 지표와 사용자 행동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었지만, 활용도는 낮았다. 데이터 활용 경험이 부족한 상태에서 단순히 “한번 보세요!” 하는 방식으로 제공되다 보니, 자연스럽게 외면당한 것이다.

올해 첫 번째 프로젝트가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대시보드 활용도가 크게 증가했고, 데이터를 확인하는 빈도도 높아졌다. 더 나아가, 타 팀에서도 대시보드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며 구축 요청이 이어지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변화의 과정과 개선된 점을 정리하고, 향후 프로젝트에서의 발전 방향을 살펴보려 한다.


2. 모두가 데이터를 바라보게 되었다. 그 이유는?

대시보드가 주목받게 된 가장 큰 이유는 '데이터 자체'에 대한 관심 증가였다. 그 배경에는 슬프게도 '저조한 성과'가 있었다.

우리 팀은 프로모션 페이지를 운영하며 전환율 향상을 목표로 했다. 하지만 오픈 첫날 성과가 전년도 대비 저조했다. 작년과 동일한 목적을 가지고 개선점을 반영해 기획한 페이지였음에도 불구하고, 첫날부터 기대 이하의 결과가 나온 것은 분명한 문제였다. 이에 전년도 캠페인과 비교하여 어떤 차이가 있었고, 성과 저조의 원인이 무엇인지 분석이 필요했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특정 세그먼트에서의 성과가 유독 저조했으며, 그 원인은 유입 채널별로 기대하는 콘텐츠가 달랐기 때문이었다고 결론을 내렸다. 특히, 주요 후킹 포인트의 배치가 적절하지 않아 사용자의 이탈이 많았음을 확인했다. 이후 콘텐츠 배치와 키 메시지를 조정한 결과, 전환율이 작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되었고, 일부 세그먼트에서는 오히려 더 높은 성과를 기록했다.

또한, 프로모션 운영 기간 동안 페이지를 여러 번 교체할 예정이었기 때문에, 변화에 따른 성과를 정밀하게 추적하고 비교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이를 계기로 내부적으로 데이터 분석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었고, 자연스럽게 팀원들의 데이터에 대한 관심도도 높아졌다.


 

3. 수정된 대시보드

성과 분석 과정에서 데이터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이에 맞춰 대시보드를 개선하고 배포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보다 많은 팀원들이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수정 방향

  • 필요한 정보에 집중: 팀원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시각화했다.
  • 사용자 친화적 구성: 빠른 확인이 필요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필터와 옵션을 배제했다.
  • 경량화: Looker Studio의 할당량 문제를 고려하여, 실시간 추이 확인이 필요한 데이터만 포함했다.
  • 불필요한 요소 제거: 기존 대시보드에는 3개의 필터가 있었으나, 실제 팀원들은 필터는 사용하지 않았고 대시보드 자체에 시각화되어 있는 정보를 확인하고자 했다. 이에 따라 핵심 KPI를 중심으로 구성했다.

수정된 대시보드는 이전 대시보드 보다 훨~씬 심플해졌다

결과적으로 대시보드는 이전보다 훨씬 심플해졌으며, 데이터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데이터 분석가의 중요한 역할임을 깨닫게 되었다.

또한, 사용자 행동과 직결되는 세션 시간, 스크롤 뎁스, UX 관련 데이터는 별도의 데일리 리포트로 제공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했다.


4. 데이터'는' 해석이 필요해요

엑셀 리포트에는 주요 성과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었지만, 이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팀원들이 많았다. 각자의 실무가 빠르게 진행되다 보니 데이터를 직접 해석할 시간이 부족했고, 리포트가 단순한 숫자 나열처럼 느껴져 실질적인 활용도가 떨어졌다.

리포트는 5개의 시트와 다양한 그래프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이를 이해하는 데 많은 시간이 필요했다. 따라서 보다 직관적으로 데이터를 해석할 수 있도록 데일리 리포트 공유 방식을 개선하기로 했다.

💬 개선된 리포트 공유 방식

  • 주요 추이 현황 및 특이사항을 요약해 Slack에 공유
  • 가장 핵심적인 데이터 포인트와 특이사항을 강조
  • 세부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리포트 위치 안내

리포트 코멘트 중 일부. 요약한다고 요약해도 공유해야할 내용이 꽤 많았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유하자 팀원들의 데이터 활용도가 높아졌고, 점차 질문과 논의도 활발해졌다. 특히 처음에는 "데이터 해석이 어렵다"는 피드백이 많았지만, 주요 인사이트를 함께 제공하면서 점점 팀원들이 데이터를 능동적으로 분석하기 시작했다.

단순한 데이터 제공이 아니라,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얻었다. 이 과정에서 리포트 공유에 대한 반응도 더욱 긍정적으로 변화했다. 예전에는 데이터를 확인하고 지나가는 경우가 많았지만, 이제는 슬랙 메시지에 이모지가 하나둘씩 달리며 적극적인 피드백이 늘어나고 있었다.

이모지가 하나씩 늘어날 때마다 괜시리 뿌듯해지곤했다.vv


5. 마무리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분석가는 단순히 데이터 리포트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팀원들이 데이터를 활용하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달았다.

👍🏻Good

  • 데이터에 대한 관심을 높아지고 활용도 증가
  • 대시보드와 리포트 제공 방식을 최적화하여 접근성 향상
  • 팀원들이 데이터를 해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환경 조성

👎🏻Bad

  • 데이터를 신속히 확인할 수 있는 환경 부족
  • 초기 분석에 시간이 많이 소요됨 (성과 저조 원인 분석에 3일 소요)

🚀 향후 개선 방향

  • Looker Studio의 자동화 기능을 활용하여, 주요 데이터를 주간 단위로 자동 공유
  • 사용자 맞춤형 필터 기능을 도입하여, 개인별로 필요한 데이터만 볼 수 있도록 개선
  • 팀원들의 피드백을 반영하기 위해 월별 대시보드 활용 설문조사를 진행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얻은 인사이트가 더 나은 데이터 활용 문화를 만드는 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데이터는 단순한 수치가 아니라, 팀의 의사결정을 이끄는 중요한 자산이라는 점을 더욱 확신하게 된 계기였다. 앞으로도 데이터가 보다 직관적이고 실질적인 의사결정 도구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것이다.

'Study > Data Visualiz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면받은 대시보드 심폐소생 시키기  (1) 2024.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