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GA4

세션 소스/매체와 세션 수동 소스/매체 비교하기

목차
1. 개요
2. 기본 개념 공통점/차이점
3. 수집되는 값 비교
4. 실무에서 활용할 때
5. 마무리

1. 개요

GA4는 사용자가 웹사이트나 앱에 어떻게 도달했는지(획득 경로)를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 과정에서 트래픽 소스와 매체는 가장 기본적인 분류 기준이 됩니다.

하지만 구글의 여러 제품(Google Ads, Search Console 등)과의 연동, 그리고 마케터가 직접 설정하는 UTM 파라미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소스 정보가 유입될 수 있습니다. GA4는 이러한 복잡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두 가지 유형의 소스/매체 측정기준을 제공하며, 각자의 역할과 우선순위가 다릅니다.


2. 기본 개념 공통점/차이점

공통점:

  • 두 측정기준 모두 세션 수준에서 작동합니다.
    즉, 특정 세션이 시작될 때의 트래픽 소스 및 매체 정보를 해당 세션 전체에 할당합니다.
  • 사용자가 어디에서 왔는지(소스),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왔는지(매체)를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 UTM 파라미터의 utm_source와 utm_medium 값과 관련이 있습니다.

차이점:

특징 세션 소스 / 세션 매체 세션 수동 소스 / 세션 수동 매체
정의 GA4의 기본 채널 그룹화 규칙과 우선순위에 따라
할당되는 최종적인 세션의 기여 소스/매체
오직 URL의 utm_source와 utm_medium
파라미터 값만을 그대로 보여주는 측정기준
수집 우선 순위  Google Ads 자동 태깅(GCLID) → DV360/SA360 자동 태깅 → UTM 파라미터 → Google 자연 검색 → 소셜 → 직접 → 참조 순 utm_source/utm_medium 파라미터 존재 여부  최우선.
다른 자동 감지 요소보다 UTM 파라미터 유무를 우선 시.
(UTM이 없으면 (not set) 또는 리퍼러 값)
목적 종합적인 마케팅 채널 성과 분석. GA4가 판단하는 가장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세션 유입 경로 UTM 태깅 디버깅수동 태깅 캠페인 성과 검증
 마케터가 의도한 UTM 값이 제대로 수집되는지 확인
값이 비어있는 경우 (direct) / (none) 또는 (not set) (not set)이 나올 가능성이 높음
(UTM 파라미터가 없는 경우).
예시 Google Ads를 통해 유입 시: google / cpc Google Ads 유입 시: (not set) (UTM이 없으므로)
또는 safeframe.googlesyndication.com / referral
(이전 페이지가 리퍼러인 경우)

 


3. 수집되는 값 비교

세 가지 시나리오를 통해 세션 소스/매체와 세션 수동 소스/매체에 어떤 값이 할당되는지 비교해 봅시다.

  1. 시나리오 1: Google Ads 자동 태깅을 통한 유입 (UTM 없음)
    • 사용된 URL: https://www.example.com/?gclid=XXXXXXX
    • 세션 소스 / 세션 매체: google / cpc (GA4가 GCLID를 통해 Google Ads임을 정확히 인지)
    • 세션 수동 소스 / 세션 수동 매체: (not set) (UTM 파라미터가 없었으므로)
  2. 시나리오 2: UTM 파라미터가 포함된 이메일 캠페인 유입
  3. 시나리오 3: 타 웹사이트의 일반 링크를 통한 유입 (UTM 없음)
    • 사용된 URL: https://www.example.com/ (이전 방문 페이지가 blog.another-site.com)
    • 세션 소스 / 세션 매체: another-site.com / referral (GA4가 리퍼러 정보를 감지)
    • 세션 수동 소스 / 세션 수동 매체: (not set) (UTM 파라미터가 없었으므로)

위 예시에서 알 수 있듯이,
1) 세션 소스 / 매체는 GA4의 지능적인 분류 시스템이 작동하여 최종적인 채널 기여도를 할당하고
2) 세션 수동 소스 / 매체는 UTM 파라미터가 명시된 경우에만 그 값을 충실


4. 실무에서 활용할 때

두 측정기준의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실무에서는 분석 목적에 따라 적절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대부분의 일반적인 마케팅 성과 분석 및 보고서:
    • 세션 소스와 세션 매체를 사용합니다.
    • 이 측정기준은 GA4가 판단하는 가장 정확하고 포괄적인 유입 채널 정보를 제공합니다. Google Ads 자동 태깅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어 유료 광고 성과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전체 트래픽 채널 믹스를 이해하는 데 가장 적합합니다. 웹사이트 전체의 트래픽을 종합적으로 볼 때 기본적으로 선택해야 할 측정기준입니다.
  • UTM 태깅의 정확성 확인 및 특정 수동 태깅 캠페인 성과 측정:
    • 세션 수동 소스와 세션 수동 매체를 사용합니다.
    • 새로운 캠페인이나 특정 이메일, 제휴 마케팅 링크에 UTM 파라미터를 적용했을 때, GA4에 해당 값이 제대로 수집되는지 확인하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 Google Ads처럼 GA4가 자동으로 분류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내가 부여한 UTM 값으로만 데이터를 보고 싶을 때 (예: 여러 플랫폼에서 동일한 utm_medium=cpc를 사용했을 때 각 플랫폼의 utm_source를 기반으로 분류)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 세션 소스/매체와 충돌하는 부분(예: google / cpc인데 수동은 (not set)이 되는 경우)을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5. 마무리

GA4의 세션 소스/매체와 세션 수동 소스/매체는 비슷해 보이지만, 데이터를 할당하는 방식과 우선순위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세션 소스/매체는 GA4의 기본 채널 그룹화 규칙에 따라 모든 유입 경로를 종합적으로 분류하여 마케팅 성과 전반을 파악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반면, 세션 수동 소스/매체는 UTM 파라미터의 값만을 직접 반영하여, 수동 태깅의 유효성 검증이나 특정 캠페인의 세부 분석에 유용합니다.

 

https://support.google.com/analytics/answer/11080067#zippy=%2C%EC%9D%B4-%EB%8F%84%EC%9B%80%EB%A7%90%EC%97%90%EC%84%9C%EB%8A%94-%EB%8B%A4%EC%9D%8C-%EB%82%B4%EC%9A%A9%EC%9D%84-%EB%8B%A4%EB%A3%B9%EB%8B%88%EB%8B%A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