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2. 모델링 전 확인해야 할 기본 설정
3. 모델링 단계벌 조정 포인트
3-1. 포화(saturation) 효과 해석 및 튜닝
4. 마무리
3-2. 광고 효과 지현(Lagged Effect) 해석 및 튜닝
3-3. 채널 별 기여도 해석과 후처리
1. 개요
이전 글에서는 Meridian의 데이터 입력 구조를 정리했다.
이번 글에서는 모델링 과정에서 조정할 수 있는 주요 변수들과 그 의미를 살펴보려 한다. Meridian은 오픈소스지만, 기본 설정 그대로 돌린다고해서 최적의 결과가 나오지는 않는다. 따라서 활용하는 데이터 set의 구성과 도메인에 맞춰 튜닝하는 과정을 살펴보려한다.
2. 모델링 전 확인해야 할 기본 설정
구글에서 제공하는 기본 meridian 실행 코드에 따라 작성한 내용이며, 기본적으로 설정해야할 내용은 4가지이다.
Step 1 : Load the Data
- KPI 유형 설정
- 매출 기반 모델인지, 전환 수 기반 모델인지 명확히 설정한다
- kpi_type = 'revenue' 또는 'conversion'
- 광고 채널 매핑
- 미디어 지출 데이터(media_spend)와 노출 데이터(impression)를 채널별로 매핑한다.
- ex. facebook_spend -> Facebook 채널, search_spend -> Search 채널
- 컨트롤 변수 포함 여부
- KPI와 광고비 모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외부 요인(ex. 검색량 GQV)를 통제 변수로 추가할지 결정한다.
Step 2 : Configure the model
- prior 설정 여부
- 채널 별 ROI, ROAS에 대한 사전 지식(prior)이 있다면 반영할지 결정한다.
- ex. Facebook 광고는 평균 ROAS 3.0정도 -> LogNormal(3.0, 0.5)
3. 모델링 단계별 조정 포인트
Meridian은 기본적으로 포화 효과(Saturation)과 지연 효과(Lagged Effect)를 모델링한다.
하지만 결과 해석과 튜닝은 사용자가 해야한다. 아래 내용은 주요 조정 포인트이다.
3-1. 포화(Saturation) 효과 해석 및 튜닝(gamma_m)
- 의미 : 광고 지출이 증가할 수록 매출 증가 폭이 둔화되는 현상(경제학에서 말하는 '수확 체감 법칙')
- Meridian의 기본 처리 : Hill함수 기반 포화 모델링 자동 적용
- Hill함수?
출처 : https://towardsdatascience.com/carryover-and-shape-effects-in-media-mix-modeling-paper-review-fd699b509e2d/ - 입력값(광고 지출)이 커질 수록 출력값(매출 증가)이 느려지는 형태를 가진 함수이다.
- 약간의 광고 지출 증가는 빠른 반응을 만들지만, 일정 수준을 넘으면 광고 효과가 점차 포화되어 추가 지출의 효과가 줄어든다.
- S자형태(sigmoid)에 가까운 곡선이다.
- Hill함수?
- 우리가 해야할 것
- 채널 별 gamma값(포화 곡선의 기울기)을 해석
- 지나치게 포화가 빠르게 오는 채널(=효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채널)을 식별
- 필요시 prior로 gamma를 수정 (ex.LogNornal로 약한 포화 형태 가정)
- 주의사항
- 포화값이 너무 높거나 낮으면 비즈니스 직관과 어긋날 수 있다.
- 예를들어, 검색광고는 포화가 느리게 와야 하고, TVC는 빠르게 오는 경향이 있음
3-2. 광고 효과 지연(Lagged Effect) 해석 및 튜닝
- 의미 : 광고비 지출 이후 효과가 시간차를 두고 나타나는 현상. (ex. TV 광고를 본 직후가 아니라 며칠 뒤에 구매로 이어질 수 있음)
- Meridian의 기본 처리 : Adstock 함수 기반 지연 효과 모델링을 자동 적용한다.(adstock_rate 또는 alpha_m 이라는 지표로 표현)
- Adstock 모델이란?
출처 : https://thinktv.ca/research/adstock/ - 광고의 잔존 효과를 수학적으로 표현하는 모델이다.
- 한번의 광고 노출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으로 사라지는 패턴을 설명한다.
- Adstock Rate(=alpha_m)는 매회 전환율에 얼마나 잔존 효과가 반영되는지를 나타낸다.
- alpha_m은 매체 단위로 처리된다.
즉, 매체별로 "얼마나 광고 효과가 오래 지속되는지"를 따로 추정한다.
- Adstock 모델이란?
- 우리가 해야하는 것
- 채널 별 alpha_m값을 확인한다.
- 광고 효과가 바로 반응하는 채널(검색, 퍼포먼스 매체)과 효과가 지연되어 나타나는 채널(TVC, 브랜딩 캠페인)을 구분한다.'
- 주의사항
- 실제 비즈니스 특성과 광고 소재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
- 브랜딩 중심 캠페인은 높은 adstock, 퍼포먼스 캠페인은 낮은 adstock이 일반적이다.
3-3. 채널 별 기여도 해석과 후처리
- 의미 : 모델이 추정한 채널별 효과를 기반으로, 실제 예산 최적화와 KPI 분석에 활용하는 단계
- 우리가 해야하는 것
- 채널별 ROAS 또는 탄력성 값을 검토
- 신뢰구간을 함께 해석해, 추정값의 불확실성 반영
- 이상치(이상 고효율 채널)나 극단적 결과는 후처리로 조정할 수 있음
👉🏻참고자료
- Google Meridian: What Is It and Should You Use It?
Google Meridian: What Is It and Should You Use It? | TDMP
In late January 2025, Google launched Meridian, their new media mix model (MMM) platform designed to improve marketing attribution and measure the impact of budgets across channels — all while respecting user privacy. In this post, we explain what Googl
www.tdmp.co.uk
- Configure the model | Meridian
Configure the model | Meridian | Google for Developers
Configure the model Stay organized with collections Save and categorize content based on your preferences. You can customize and configure the Meridian base model specification for your specific needs, such as customizing ROI priors, adjusting for seasonal
developers.google.com
- Model specification | Meridian
Model specification | Meridian | Google for Developers
Model specification Stay organized with collections Save and categorize content based on your preferences. The standard Meridian model is a geo-level hierarchical model with non-linear parametric transformations on the media variables. Random coefficients
developers.google.com
4. 마무리
이번 글에서는 Meridian 모델링 과정에서 조정해야 할 핵심 변수들을 정리했다.
다음 글에서는 모델링 결과를 어떻게 해석하고, 예산 최적화에 활용할 수 있을지 살펴볼 예정이다.
'Study > ML&DL'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ridian 활용기] 3-1. Pre-modeling: 데이터 구조 이해와 입력 설계하기 (1) | 2025.04.22 |
---|---|
[Meridian 활용기] 2. 왜 Meridian은 베이지안을 택했을까? (0) | 2025.04.18 |
[Meridian 활용기] 1. MMM과 Meridian은 무엇인가 (0) | 2025.04.18 |